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이다. 트위터의 창업주는 잭 도시, 비즈 스톤, 에번 윌리엄스 그리고 노아 글래스다. 트위터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의 팟캐스트 벤처 기업인 오데오의 에번 윌리엄스와 노아 글래스가 고안하여 연구하고 개발한 프로젝트에서 출발하였다. 잭 도시는 SMS를 통해 소규모 그룹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최초의 프로젝트 코드네임은 twttr로 정해졌었다. 당시에는 twitter.com이라는 도메인이 이미 사용중이었기 때문에, 6개월 후에 이 도메인을 구입했고, 서비스 명을 트위터(twitter)로 변경했다. 트위터는 2006년 3월에 첫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7년 4월에 오데오 사에서 분리되어 트위터 주식회사(twitter, Inc.)라는 이름으..

2010년 10월 IOS용으로 출시된 인스타그램은 두 달만에 100만 명, 1년 만에 1000만 명, 2015년 기준으로 8000만 명을 돌파했고 2014년에는 세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가 3억 명을 돌파했다. 인스타그램은 케빈 시스트롬과 맥 크리거가 공동으로 설립한 온라인 사진 공유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인스타그램의 이용자들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사진 촬영과 동시에 다양한 디지털 효과를 적용하며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과거에는 사진이 1:1 비율로만 업로드 되었지만 현재는 비율에 상관없이 사진을 편집하여 업로드를 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은 또한 즉석에서 사진을 볼 수 있게 한 방식의 카메라인 '인스턴트 카메라'와 전보를 보낸다는 의미의 '텔..

페이스북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 파크라는 곳에 본사를 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다. 2004년에 마크 저커버그가 하버드대 동문에 룸메이트들과 함께 웹사이트를 개설했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 인구 3명 가운데 한 사람이 사용하는 수준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하버드 대학교의 학생이었던 마크 저커버그는 2학년 때 페이 스매시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 뒤에 2004년에 "더페이스북"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팔로알토로 회사를 옮겼고, 페이팔 공동 창립자 피터 틸로부터 첫 투자를 받았다. 그 후에 페이스북은 facebook.com 도메인 이름을 200,000 달러를 주고 구매한 뒤 이름에서 The를 뺀 지금의 "페이스북..

블로그는 정보 공유나 의견 교환을 목적으로 올리는 글을 모아 웹상에 게시하는 웹사이트의 일종이다. 블로그라는 말은 웹과 로그를 합친 말로, 스스로가 가진 느낌이나 품어오던 생각, 알리고 싶은 견해나 주장 등의 것을 일기처럼 차근차근 적어서 올리는 방식이다. 다른 사람들이 이를 보고 읽을 수 있으며, 보통 시간 순서대로 최신 글부터 보인다. 하지만, 글 쓴 시간을 수정할 수 있는 블로그의 경우에는 시간을 고쳐 글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여러 사람이 쓸 수 있는 게시판과는 달리 한 사람 또는 소수의 몇몇 사람만 글을 올릴 수 있다. 블로그를 소유하고 관리하는 사람을 블로거라고 한다. 블로그는 개인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인터넷을 통해 기존에 있던 대형 미디어만큼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1..

소셜 네트워크는 개인, 그룹, 조직 또는 전체 사회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사회 과학에서 유용한 이론 구조이다. 주어진 사회적 단위가 연결되는 유대는 그 단위의 다양한 사회적 접촉의 융합을 나타낸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법의 원칙은 사회적 현상이 이러한 단위 자체의 속성 대신에 단위들 사이의, 그리고 단위들 사이의 관계의 속성을 통해 주로 구상되고 조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소셜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한 가지 일반적인 비판은 개별 기관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지만 무시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는 것이다. 조금 심오한 사회관계망의 개요에 대해 알아보았다. SNS의 정의로 다시 돌아가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영어로 Social Networking Servic..

인쇄술의 발명 이래 최대의 문화적 변화를 가져온 것이 인터넷이라는 사실은 모두가 알고 있을 것이다. 이제 인터넷은 단순한 뉴스 기사 검색이나 온라인 쇼핑을 넘어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SNS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제2의 터전을 만드는 중이다. SNS가 사람들의 시선이 머무는 곳이니 비즈니스도 당연히 그쪽으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 소셜미디어는 개방, 참여, 공유의 가치로 요약되는 웹 2.0 시대의 도래에 소셜 네트워크의 기반에서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 등을 서로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이다. 일종의 유기체처럼 성장하기 때문에 소비와 생산의 일반적인 매커니즘이 적용되지 않으며, 양방향성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정보..

현재 급변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우리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유튜브 등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서로에게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다. SNS의 발달은 구체적이고 세밀한 정보로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 더 서로 간의 연결성과 활동반경을 넓혀주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SNS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SNS는 지금껏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해 온 최대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들을 상당히 무력화시켰다. 몇 가지 예시를 살펴보면, SNS로 인해 사람들과 만나지 않고도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다. 같은 나라안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함께 생각을 나눌 수 있고 도움을 주고받고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정보들을 알차게 얻을 수 있다. 학교 수업은 물론, 기업에서 일을 ..
- Total
- Today
- Yesterday
- 열정
- 유튜브
- 성공
- SNS
- 트위터
- 아티스트
- 넷플릭스
- 틱톡
- meta
- 소셜미디어
- 비즈니스
- OTT
- 팟캐스트
- 라이브
- 인터넷
- social network
- 라인
- vlive
- 페이스북
- 메시지
- 스트리밍
- 인스타그램
- 창업
- 카카오톡
- 브이앱
- 소셜네트워크
- 메타
- 블로그
- 텔레그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