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시국으로 인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었다. 영화관을 가는 것도 제약이 생기다 보니, 집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나 또한 코로나 이전에는 잘 몰랐던 넷플릭스에 대해 알아보자. 넷플릭스는 인터넷과 영화를 합성한 이름으로 전 세계 190개국 이상에 약 2억 명이 너는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며, 영화와 드라마, TV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들을 즐길 수 있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회원이 되면 무제한으로 모든 기기에서 볼 수 있는 플랫폼이다. 넷플릭스에서 만든 것은 다른 곳에서 가져온 콘텐츠들을 광고나 약정 조건 또는 제한 없이, 시청이 가능하다. 넷플릭스는 1997년 캘리포니아에서 리드 헤이스팅스와 마크 랜돌프라는 사람..

팟캐스트 또는 넷캐스트는 시청 또는 청취를 원하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구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방송이다.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들을 수 있는 일련의 디지털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이며, 구독에 자주 사용이 되므로 새로운 에피소드가 웹 신디케이션이라는 것을 통해 사용자의 로컬 컴퓨터,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이나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에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된다. 스트리밍과 관련된 인터넷 라디오와는 다르다. 주로 MP3 플레이어와 같은 미디어 파일을 웹에 올리고 RSS 파일의 주소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배포하며 애플의 아이튠즈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으로 팟캐스트를 검색하고 구독을 한다. 컴퓨터에서 직접 재생을 하거나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로 전송한 뒤에 재생을 한다. 표기에 관련해..
카카오톡은 주식회사 카카오가 2010년 3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글로벌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다. 카카오톡은 현재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프리웨어로 제공이 된다. 각의 OS에 맞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2010년 3월에 카카오톡은 iOS용 및 안드로이드용 앱을 출시했다. 2013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버전을 출시하였다. 1년 후인 2014년에는 macOS용 앱이 맥 안의 앱 스토어를 통해 출시되었다. 블랙베리 OS용과 바다용 앱은 출시를 했었지만 종료하였다. 카카오톡은 상대방과 단순한 대화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들을 가지고 있다. 카카오톡의 주 기능으로는 상대방에게 메세지, 사진, 동영상, 음성, 그리고 연락처 등을 전송할 수가 있고, 친구들과 일정을 만들 수가 있다. 그리..

텔레그램은 여러 플랫폼을 지원하면서 다양한 기기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영리를 추구하지 않는 자유를 내세운 클라우드 기반의 인터넷 메신저이자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텔레그램은 원래 증권가에서 많이 사용했던 메신저 중 하나였다. 미스리라라는 메신저를 증권가에서 많이 이용을 했었지만, 검찰이 요청을 하여 운영자가 대화 내용을 제공을 하게 되었다. 그런 이유로 사람들은 텔레그램으로 넘어가기 시작했다. 텔레그램은 일반대화 방식과 비밀대화 방식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다. 일반 대화는 일반적인 다른 메신저와 동일한 기능이다. 모든 대화 목록은 클라우드 기능에 저장이 되며, 로그인하는 기기에 알림을 보낸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텔레그램은 사용하는 목적과는 거리가 있다.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만 알면 이제까지 나..

라인은 일본 사람들이 특히 많이 이용한다. 라인은 네이버 주식회사의 일본 법인이었던 네이버 재팬에서 개발하고 출시한 모바일 메신저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수인 국민적 서비스로 발전을 하였다. 한국어 서비스는 2011년 8월부터 시작되었다. 네이버는 먼저 네이버 ID를 이용자 인증 기반으로 하는 네이버톡을 출시했지만 대한민국 내에 있는 모바일 시장에서 부진을 면하지 못했고,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네이버 라인은 일본, 중동,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의 108개국에서 이용이 되며, 국내 이용자보다 국외 이용자가 훨씬 많다., 해외 진출은 당시 NHN의 의장으로 있던, 이해진이 주도하여 이루어졌다. 현재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하였던 카카오톡의 사례를 참고하여..

요즘 MZ 세대들에게 숏폼 콘텐츠가 유행이다. 특히 10대에서 20대초반까지의 연령대가 틱톡을 즐겨 이용한다. 틱톡은 장위밍 이라는 사람이 2012년에 설립한 IT 기업 바이트댄스가 소유하고 있는 글로벌 숏폼 비디오 플랫폼이다. 3초에서 7분까지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짧은 음악, 립싱크, 댄스, 코미디, 탤런트, 챌린지와 같은 영상을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는 동영상 공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바이트댄스는 틱톡은 2016년 9월 중국 시장에 '더우인'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했고, 이는 1년만에 이용자 1억명을 돌파하였다. 더 나아가,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틱톡을 만들었으며, 2017년에 중국 본토 이외에 150개의 국가와 지역에서 75개의 언어로 iOS와 안드로이드용 틱톡을 출시했다. 또한, 미국..

요새는 유튜브를 안 보는 사람이 없다. 대부분의 정보를 유튜브를 통해 얻고 일상까지 공유하는 대세 플랫폼이 되었기 때문이다. 유튜브는 구글이 서비스하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이다. 2006년에 구글이 인수를 했고,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동영상 공유와 호스팅을 하는 사이트로서 이용자들이 영상을 시청, 업로드, 공유를 할 수 있다. 유튜브는 2005년 2월에 페이팔의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 스티브 천, 자베드 카림이 공동으로 창립을 했다. 그 해 4월에 최초 영상이 업로드되면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2006년 10월에 약 16억 5천만 달러의 가격에 구글로 인수되었다. 유튜브의 콘텐츠는 개인이 제작한 비디오 영상을 비롯한 영화와 텔레비전 클립,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콘텐츠들이 올라온다. 구글은 2006..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이다. 트위터의 창업주는 잭 도시, 비즈 스톤, 에번 윌리엄스 그리고 노아 글래스다. 트위터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의 팟캐스트 벤처 기업인 오데오의 에번 윌리엄스와 노아 글래스가 고안하여 연구하고 개발한 프로젝트에서 출발하였다. 잭 도시는 SMS를 통해 소규모 그룹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최초의 프로젝트 코드네임은 twttr로 정해졌었다. 당시에는 twitter.com이라는 도메인이 이미 사용중이었기 때문에, 6개월 후에 이 도메인을 구입했고, 서비스 명을 트위터(twitter)로 변경했다. 트위터는 2006년 3월에 첫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7년 4월에 오데오 사에서 분리되어 트위터 주식회사(twitter, Inc.)라는 이름으..
- Total
- Today
- Yesterday
- 넷플릭스
- 트위터
- 메시지
- 라이브
- 인스타그램
- 인터넷
- 페이스북
- 텔레그램
- 창업
- 카카오톡
- 블로그
- SNS
- 비즈니스
- meta
- 소셜미디어
- OTT
- 아티스트
- 성공
- 소셜네트워크
- 열정
- 스트리밍
- vlive
- 라인
- social network
- 메타
- 틱톡
- 팟캐스트
- 유튜브
- 브이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